목록분류 전체보기 (40)
EPguy
1. ssh 등을 이용해 EC2에 접속합니다. 2. 필요한 크기의 swap 파일을 생성합니다. 예를 들어, 1GB의 swap 공간을 만들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. $ sudo 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M count=1024 bs는 블록사이즈, count는 블록 수를 나타냅니다. 두 값을 곱하면 swap 파일의 크기가됩니다. 즉 위 코드는 1GB의 swap파일을 생성하는 것 입니다. 3. 생성된 파일을 swap 파일로 설정합니다. $ sudo mkswap /swapfile 4. swap 파일을 활성화합니다. $ sudo swapon /swapfile 5. 인스턴스가 시작할때 마다 자동으로 swap 파일이 활성화되도록 '/etc/fstab' 파일에 다..
REPOSITORY=/home/ubuntu/lolsquare_client cd $REPOSITORY sudo npm install sudo npm run start echo "> 배포 종료" 위에 Shell 코드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 "ScriptTimedOut"라는 에러가 발생했습니다. 이 에러의 원인은 "npm run start" 명령을 사용하면 터미널 세션을 직접 종료하거나 Ctrl + C를 눌러줄 때까지 세션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입니다.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CodeDeploy는 스크립트가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"ScriptTimedOut"이라는 에러 메시지를 보냅니다. 즉, 터미널 세션을 수동으로 종료하지 않으면 스크립트가 계속 실행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이 에러가 발생하는 것..
Next js에서 npm run build를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. Type error: Cannot find name '__DEV__'. redux toolkit을 사용중이였는데 redux toolkit 라이브러리는 immer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설치 하는 것 같다.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immer라이브러리를 까보니 환경이 production인지 구분할 때 process.env.NODE_ENV가 아닌 DEV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. 그래서 npm install immer를 통해 immer 라이브러리를 직접 설치해주니 DEV가 process.env.NODE_ENV 가 바뀌면서 에러가 해결됐다. 해결방법 npm install immer
아래 코드처럼 unwrap을 try catch 문으로 묶으면 API 호출이 성공인 경우 try 문을 타고 에러인 경우 catch 문을 탄다. const handleChangeSummoner = async (summonerName: string) => { try { await changeSummoner(summonerName).unwrap(); //이곳엔 성공시 처리 할 코드 작성 } catch (error) { //이곳엔 에러시 처리할 코드 작성 } }
접속 허용할 IP 추가하기 vi /etc/hosts.allow # # Example: ALL: LOCAL @some_netgroup # ALL: .foobar.edu EXCEPT terminalserver.foobar.edu # # If you're going to protect the portmapper use the name "rpcbind" for the # daemon name. See rpcbind(8) and rpc.mountd(8) for further information. # sshd: 접속 허용할 IP sshd: 192.168.1.1 sshd: 192.168.1.2sshd: ALL 추가하여 나머지는 접근 불가하게 만들기 vi /etc/hosts.deny # # hosts.deny..